사람의 향기 사람의 만남은 향기로도 남습니다. 그저 그런 향기도 있고, 지금이라도 당장 달려가 가슴에 코를 대고 다시 맡고 싶은 향기도 있습니다. 그런데, 그렇게 달려가 다시 맡았는데, 향기가 변해 있거나 예전과 같지 않으면 얼마나 실망이 크겠습니까? 만날 때마다 새롭고 한결같은 사람, 그럴 .. 향내음의 보금자리/일주문(심검당) 2013.07.15
고해의 바다 이 세상을 고해라고 한다. 고통의 바다라고, 사바 세계가 바로 그 뜻이다. 이 고해의 세상, 사바 세계를 살아가면서 모든 일이 순조롭게 풀리기만 바랄 수는 없다. 어려운 일이 생기기 마련이다. 어떤 집안을 들여다봐도 밝은 면이 있고, 어두운 면이 있다. 삶에 곤란이 없으면 자만심이 넘.. 향내음의 보금자리/일주문(심검당) 2013.07.06
행복 행복은 남에게 나눠 줌으로써 비워지는 것이 아니라~없는 것을 나눔으로써 채워지는 신비로운 것입니다. 베푸는 만큼 행복의 양도 그만큼 많아 집니다. 행복은 또 스스로 만족하는 데에 있습니다. 남보다 나은 점에서 행복을 구한다면 영원히 행복하지 못할 것입니다. 알면서 못하는 우.. 향내음의 보금자리/일주문(심검당) 2013.07.05
은거부하구(隱居復何求)무언도심장(無言道心長) 부처님의 오신 뜻은, 미망의 어둠으로 부터 떨처나고. 독선과 아집으로 부터 벗어나는 깨달음을 주기 위함이다. 은거부하구(隱居復何求)무언도심장(無言道心長) 산에 숨어서 무엇을 구하느냐, 묵언으로 도심을 기르는 것이 수행자 이다. 행복은 받는 것이거나, 주는 것이 아니라 짓는 것.. 향내음의 보금자리/일주문(심검당) 2013.06.26
정신이 상쾌·예리해지며 正念 분명 〈24〉좌선의 공능 (坐禪功能) ③ 정신이 상쾌하고 예리해지며 정념(正念)이 분명하다고 한 것은 수행의 결과인 삼매경(三昧境)을 말한 것이다. 인간에게 정념(正念)은 삼매가 아니면 있을 수 없는 마음이다. 정념은 사념(邪念)의 반대말로써 탐·진·치의 마음, 아상(我相) 등 4상(四相)의 .. 향내음의 보금자리/일주문(심검당) 2013.06.24
하루에 한번씩 읽어야 될 글귀 따져서 이길 수는 없다 사랑이라는 이름으로도 잔소리는 용서가 안 된다 유머에 목숨을 걸지 마세요 반드시 답변을 들어야 한다고 생각하면 화를 자초한다 상대편은 내가 아니므로 나처럼 되라고 말하지 마세요 앞에서 할 수 없는 말은 뒤에서도 하지 마세요 농담이라고 해서 다 용서되.. 향내음의 보금자리/일주문(심검당) 2013.06.03
웅비(雄飛)의 날개짓 말이 바뀌면 허물도 예쁘게 보인다고 합니다. 바라보는 시선 하나만으로도 미움이 사랑으로, 슬픔이 기쁨으로 물론 바뀐다는 것입니다. 말 한마디로 죽어가던 사람도 살려낸다는 말입니다. 아름다운 희망을 가득 품은 생명으로 물들게 합니다. 생각이 바뀌면 내 삶도 물론 바뀌구요. 옹.. 향내음의 보금자리/일주문(심검당) 2013.06.03
포대화상 게송 마음공부는 무엇일까 자루를 키우는 것이다 자루가 크고 튼튼하면 큰 물건을 넣어도 잘 들어가고 날카로운 물건을 넣어도 잘 넣을 수 있지만 자루가 오종종하면 조금만 큰 걸 넣으려도 뿌지직 뿌지직 무리가 가고 조금만 날카로운 걸 넣으려도 흠집이 나거나 찢어질 염려가 있다 우리들 .. 향내음의 보금자리/일주문(심검당) 2013.05.20
『능가사자기(楞伽師資記』 이 마음이 부처요 이 마음이 부처를 만든다. 부처가 바로 이 마음이요 마음 밖에 달리 부처가 없음을 마땅히 알라 (是心是佛 是心作佛 當知佛卽是心, 心外更無別佛也) 향내음의 보금자리/일주문(심검당) 2013.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