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수는 병든 고래의 몸에서 짠 기름을 원료로 하여 향수를 만듭니다.
우황청심환은 병든 소에게서 얻어집니다. 병들지 않은 소의 몸에는 우황이 없습니다.
로키산맥 같이 험준하고 깊은 계곡에서 비바람과 눈보라의 고통을 뚫죽지 않고 살아난 나무가 공명에 가장 좋은 원료가 되어 세계명품 바이올린이 된다고 합니다.
이처럼 고난과 역경뒤에 위대한 작품들이 나오고 명품들이 나오듯이 우리도 시련과 환란을 통해 귀하게 쓰임 받는 존재가 되는 것입니다.
생활이 궁핍하다 해도 여유 있는 표정을 짓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입니다.
누가 나에게 섭섭하게 해도 그동안 나에게 그가 베풀어 주었던 고마움을 생각하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입니다.
밥을 먹다가 돌이 씹혀도 돌보다는 밥이 많다며 웃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입니다.
밥이 타거나 질어 아내가 미안해할 때 누룽지도 먹고 죽도 먹는데 무슨 상관이냐며 대범하게 말하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입니다.
나의 행동이 다른 이에게 누를 끼치지 않는가를 미리 생각하며 행동하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입니다.
남이 잘 사는 것을 배 아파하지 않고 사촌이 땅을 사도 축하할 줄 아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입니다.
자신의 직위가 낮아도 인격까지 낮은 것은 아니므로 기죽지 않고 당당하게 처신하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입니다.
비가 오면 만물이 자라나서 좋고 날이 개면 쾌청해서 좋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입니다.
좋았던 추억을 되살리고 앞날을 희망차게 바라보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입니다.
김창옥교수의 칭찬과 따뜻한말로 형성되는 관계
https://www.facebook.com/share/v/WdseyBSerQr67bn8/?mibextid=w8EBqM
'향내음의 보금자리 >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처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노인 육법전서 📖 (0) | 2024.06.07 |
---|---|
業의 파장 (1) | 2024.06.05 |
‘끽다거(喫茶去)’ ― "차나 한 잔 마시게"라는 화두는 망념 망상을 버리고, 본래 청정한 우리의 마음으로 돌아가라는 의미이다. (0) | 2024.05.30 |
손가락 지혜 (0) | 2024.05.27 |
법구경 (0) | 2024.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