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내음의 보금자리/필요한 생활의지혜 및 염불

종성 과 예불

향내음(蕙巖) 2012. 12. 21. 14:19

 

 

 

 종송(鐘頌)

 

 

 

聞鍾聲煩惱斷 智慧長普提生

문종성번뇌단 지혜장보제생

 

 

離地獄出三界 圓成佛度衆生

이지옥출삼계 원성불도중생

 

 

이 종소리를 듣고 일체번뇌를 끊어라

지혜를 기르고 길러 보리심 내며

지옥을 여의고 삼계를 벗어나

원컨대 성불하여 일체중생 제도하여 지이다

 

 

(지옥을 파 하는 진언)

 

 

破地獄眞言 파지옥진언

 

옴 가라지야 사바하 {3번}

 

 

상단칠정례(上壇七頂禮) - 상단예불(上壇禮佛)

 

 

다게(茶偈)-목탁또는경쇠(아침예불 시)

 

아금청정수 변위감로다 봉헌삼보전

원수애납수 원수애납수 원수자비애납수

 

 

오분향게(五分香偈)-목탁또는 경쇠(저녁예불 시)

 

 

계향 정향 혜향 해탈향 해탈지견향

戒香 定香 慧香 解脫香 解脫知見香

 

 

광명운대 주변법계 공양시방 무량불법승

光名雲臺 周邊法界 供養十方 無量佛法僧

 

 

헌향진언(獻香眞言)

옴 바아라 도비야 훔(3번)

 

 

지심귀명례 삼계도사 사생자부 시아본사 석가모니불

至心歸命禮 三界導師 四生慈父 是我本師 釋迦牟尼佛

 

 

지심귀명례 시방삼세 제망찰해 상주일체 불타야중

至心歸命禮 十方三世 帝網刹海 常住一切 佛陀耶衆

 

 

지심귀명례 시방삼세 제망찰해 상주일체 달마야중

至心歸命禮 十方三世 帝網刹海 常住一切 達磨耶衆

 

 

 

지심귀명례 대지문수사리보살 대행보현보살 대비관세음보살

대원본존지장보살 마하살

至心歸命禮 大智文殊舍利菩薩 大行普賢菩薩 大悲觀世音菩薩

大願本尊地藏菩薩 磨訶薩

 

 

지심귀명례 영산당시 수불부촉 십대제자 십육성 오백성 독수성

至心歸命禮 靈山當時 受拂付囑 十代弟子 十六聖 五百聖 獨修聖

 

 

내지 천이백제대아라한 무량자비성중

乃至 千二百諸大阿羅漢 無量慈悲聖衆

 

 

지심귀명례 서건동진 급아해동 역대전등 제대조사

천하종사 일체미진수 제대선지식

至心歸命禮 西乾東震 及我海東 歷代傳燈 諸大祖師

天下宗師 一切微塵數 諸大善知識

 

 

지심귀명례 시방삼세 제망찰해 상주일체 승가야중

至心歸命禮 十方三世 帝網刹海 常住一切 僧伽耶衆

 

 

유원 무진삼보 대자대비 수아정례 명훈가피력

원공법계 제중생 자타일시 성불도

唯願 無盡三寶 大慈大悲 受我頂禮 冥薰加被力

願共法界 諸衆生 自他一時 成佛道

 

 

 

 

발원(發願)

 

 

발원은 부처님 전에 자신의 서원을 세우고

이를 반드시 실현하겠다는 다짐의 의식이다.

 

발원(축원)은 여러 예문이 있으나

전통적인 행선축원과 이산 혜연선사의 발원문 및

현대적인 발원문을  상황에 따라 적의하게 선택하여 집전한다.

 

 

행선축원(行禪祝願)(原文)

 

* 시작전 합장하고

“법륜상전어무궁” 할때 대중들은 다같이 목탁에 맞춰 삼배를 드린다.

“원아세세생생처~필경무불급중생”까지는

나옹스님이 지으신 예문이고 앞부분과 뒷부분은 시의에 맞게 회편한 것이다.

 

 

- 합장 -

 

 

조석향등헌불전 귀의삼보예금선 朝夕香燈獻佛前 歸依三寶禮金仙

국계안녕병혁소 천하태평법륜전 國界安寧兵革消 天下太平法輪轉

원아세세생생처 상어반야불퇴전 願我世世生生處 常於般若不退轉

여피본사용맹지 여피사나대각과 如彼本師勇猛智 如彼舍那大覺果

여피문수대지혜 여피보현광대행 如彼文殊大智慧 如彼普賢廣大行

여피지장무변신 여피관음삼이응 如彼地藏無邊身 如彼觀音三二應

시방세계무불현 보령중생입무위 十方世界無不現 普令衆生入無爲

문아명자면삼도 견아형자득해탈 聞我名者免三途 見我形者得解脫

여시교화항사겁 필경무불급중생 如是敎化恒沙劫 畢竟無佛及衆生

시방시주원성취 시회대중각복위 十方施主願成就 時會大衆各伏爲

선망부모왕극락 현존사친수여해 先亡父母往極樂 現存師親壽如海

법계고혼리고취 산문숙정절비우 法界孤魂離苦趣 山門肅靜絶悲憂

사내재액영소멸 토지천룡호삼보 寺內災厄永消滅 土地天龍護三寶

산신국사보정상 원공함령등피안 山神局司補禎祥 願共含靈登彼岸

세세상행보살도 구경원성살바야 細細常行菩薩道 究竟圓成薩婆若

마하반야바라밀 摩訶般若波羅密

 

나무석가모니불 나무석가모니불 나무시아본사 석가모니불

南無釋迦牟尼佛 南無釋迦牟尼佛 南無是我本師 釋迦牟尼佛

 

 

 

 

행선축원(우리말)

*행선축원 원문 내용을 가감하여 우리말로 바꾸어 놓은 것으로

신도대중 동참 시 활용토록 하며, " 부처님법 펴지이다 " 에서

대중들은 다같이 목탁에 맞추어 삼배를 올린다.

 

 

- 합장 -

부처님께 향과등불 조석으로 올리옵고 삼보전에 귀의하여 공경예배 하옵나니

우리나라 태평하고 흉년난리 소멸하여 온세계가 평화로워 부처님법 펴지이다

원합노니 이내몸이 세세생생 날적마다 반야지혜 좋은인연 항상토록 함께하고

우리본사 세존처럼 용맹하신 뜻세우고 비로자나 여래같이 등정각을 이룬뒤에

문수사리 보살처럼 깊고밝은 큰지혜와 보현보살 본을받아 크고넓은 행원으로

넓고넓어 끝이없는 지장보살 몸과같이 천수천안 관음보살 삼십이응 몸을나퉈

시방삼세 넓은세계 두루돌아 다니면서 모든중생 제도하여 열반법에 들게할제

내이름을 듣는이는 삼악도를 벗어나고 내모습을 보는이는 생사번뇌 해탈하고

억천만년 지나면서 이와같이 교화하여 부처님도 중생들도 아주차별 없어지이다

원합노니 용과하늘 여덟종류 신중들이 이내몸을 옹호하여 잠시라도 뜨지말고

어려운일 당하여도 아무걱정 없게하며 이와같은 큰서원을 이루도록 하여지이다

 

나무석가모니불 나무석가모니불 나무시아본사 석가모니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