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고집멸도(無苦集滅道)
이 고. 집. 멸. 도(苦.集.滅.道)를 사제(四諦)라 한다.
마음에 구하는 것이 저 법에 얽매이므로 이름을
제(諦)라고 한다.
정밀하고도 부지런하게 수행하고 증득(證得)하여
마음에 쉴 틈이 없는 것을 고제(苦諦)라 하고,
경과 논을 널리 보아서 오묘한 이치를 탐구하는 것을
집제(集諦)라 하고,
모든 망상을 끊고 지극히 항상 고요한 것을
구하는 것을 멸제(滅諦)라 하고,
어지러운 번민을 멀리 떠나 진리를 정밀히
연마하는 것을 도제(道諦)라 한다.
이제 다시 사성제(四聖諦)를 자세히 밝혀 보자.
마음이 본래 맑고 비어서 수행하여
증득할 필요가 없다고 고집하는 것을
이름하여 고제라 하고,
성품이 모든 것을 포힘하였으니 어찌 찾고 구할 것이
있겠는가 하는 것을 집제라 하고,
망상이 일어나지 않아 본래 스스로 항상 고요하다
하는 것을 멸제라 하고,
적정(寂靜)이 둘이 아니고 삿됨과 올바름이
다르지 않다고 고집하는 것을
이름하여 도제라 한다.
이것은 병을 대치하는 말인데 만약 무심(無心)을
요달하면 어찌 사제(四諦)가 있으리오.
그러므로 고. 집. 멸. 도가 없다.
竹密不妨流水過 죽밀부방유수과
山高豈礙白雲飛 산고개의백운비
대밭이 빽빽하여도 흘러가는 물은 방해롭지 않고,
산이 높아도 구름은 꺼리끼지 않는다.
무지 역무득(無智 亦無得) 모든 법을 두루 비추어 보아도 소득이 없는 줄 요달하는 것이 지혜요, 모든 법이 본래 공(空)한데 어지 두루 비추는 것을 빌리겠는가. 그러므로 지혜조차 없는 것이라 하고 자기 성품이 청허(淸虛)하여 실로 한 법도 얻을 것이 없으므로 또한 얻는 것도 없다고 하였다.
'향내음의 보금자리 >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처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전예수재(生前豫修齊) 의 의미 (0) | 2012.05.23 |
---|---|
불기 2556년 부처님 오신날 (0) | 2012.05.21 |
감사의 촛불 (0) | 2012.05.07 |
기도는 오로지 한 부처님으로 (0) | 2012.04.27 |
능엄신주 (0) | 2012.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