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자삼락(君子三樂)
[훈 음]
<君:임금 군. 子:아들 자. 三:석 삼.
樂:즐길 락.좋아할 요.풍유 악>
(樂에는 세가지 음이 있음)
[의미]
(군자에게는 세 가지 즐거움이 있다는 말.)
[고사 내용]
전국 시대, 철인(哲人)으로서 공자의 사상을
계승 발전시킨 맹자(孟子:B.C. 372?∼289?)는
《맹자(孟子)》
〈진심편(盡心篇)〉에서 이렇게 말했다.
군자에게는 세 가지 즐거움이 있다.
[君子有三樂(군자 유삼락)]
[첫째]:즐거움은 양친이
다 살아 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이요.
[
父母具存 兄弟無故(부모구존 형제무고)]
[둘째]: 즐거움은 우러러 하늘에
부끄러움이 없고 구부려
사람에게 부끄럽지 않은 것이요.
[仰不傀於天 俯不작 於人(앙불괴어천 부부작어인)]
[셋째]: 즐거움은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교육하는 것이다.
[
得天下英才 而敎育之(득천하영재 이교육지)]
한편 공자는《논어(論語)》에서
'손해 되는 세가지 좋아함
[損者三樂(손자삼요)]'을 다음과 같이 꼽았다.
(1)교락(驕樂:방자함을 즐김),
(2)일락(逸樂:놀기를 즐김),
(3)연락(宴樂:주색을 즐김).
'향내음의 보금자리 > 일주문(심검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람 사는일이 다그렇고 그럽디다 ... (0) | 2011.11.02 |
---|---|
대행스님 말씀 (0) | 2011.10.28 |
진면목 (0) | 2011.10.13 |
空 (0) | 2011.10.07 |
눈물없이는 볼수없는 글!! (0) | 2011.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