즉심즉불 | ||||
마음이 바로 부처, 마음이 없으면 부처 또한 없다 | ||||
| ||||
마음은 육체의 한계를 벗어나 과거와 미래를 자유롭게 왕래한다. 공간적 제약도 마음을 가둘 수는 없다. 마음만 먹으면 고향집 앞뜰과 뒷동산은 물론 우주 저 멀리 여행할 수 있으니 말이다. 또한 금방 사멸하고 말 육체에 비하여 마음은 영원성을 담지하고 있다. 나아가 욕망에 짓눌린 육체보다 마음은 왠지 순수하고 고결한 느낌이다. 선에서는 마음이 바로 부처라고 한다. 그 단적인 표현이 ‘즉심즉불(卽心卽佛)’이다. 이와 유사한 말이 ‘비심비불(非心非佛)’이다. 마음이 없으면 부처 또한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마음을 일컬어 황벽 선사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너의 마음이 부처이고, 부처가 바로 이 마음이다. 마음과 부처는 다를 게 없다.”(《전심법요》) 그러나 마음이 부처라고 할 때, 그 마음은 보통의 마음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사실 간사한 것으로 치면 마음만큼 간사하고 사악한 당체는 없다. 마음은 평화로워졌다가도 폭풍처럼 사납게 출렁거리기도 한다. 마음이 어느 한 군데 꽂혀 있으면 송곳조차 들어가지 않는다. 정말 타협의 여지가 없을 정도로 고집불통이다. 보통 우리 마음을 보면, 오락가락 생멸하며 이러 저리 따지고 비교하며 계산하고 헤아린다. 그것은 한계가 있는 마음이며 때가 낀 마음이다. 중생의 마음이 그럴 것이다. 부처로서의 마음은 무엇인가? 그렇다면 부처로서의 마음은 무엇인가? 그것은 허공과 같은 마음이요 청정한 마음이며 생명력 가득한 마음이다. 경계의 바람에도 흔들리지 않는 굳건한 마음이다. 특정한 상을 떠나 있으면서 내외의 벽이 없다. 장애 또한 없다. 남의 시선에 오락가락하지 않는 주체적인 마음이며 당당한 마음이다. 허공과 같은 품성을 지니고 있으면서 현상을 파악하는 신령스러운 영지성(靈知性) 또한 담지하고 있다. 게다가 마음은 여러 가지 사물을 그려내는 원초적인 생명력을 지니고 있다. 창조적 주체자로서의 자재한 마음, 평화로운 마음, 그것이 부처의 마음인 것이다. 아울러 부처로서의 마음은 허약한 관념으로서의 마음이 아니라 이 사실의 세계에서 역력하게 활동하며 움직이는 마음이요 그래서 사물과 혼연일체가 된 마음이다. 마음이 전부입네 하고 마음에만 집착한다면 그것 또한 병폐다. 이와 관련하여 《전심법요》에서는 또 다음과 같이 말한다. “범부는 경계에 집착하고, 도인은 마음에 집착한다. 마음과 경계를 모두 버려야 참된 법이다” 중생의 마음과 부처의 마음은 같은가 다른가? 그렇다면 중생의 마음과 부처의 마음은 같은가 다른가? 마음의 본모습은 중생이나 부처나 다르지 않다. 그러나 그 마음이 갇혀 있고 속박되어 있으면 중생의 마음이요 속박으로부터 떠나 이리저리 헤아리지 않는다면 부처의 마음이다. 그래서 《화엄경》에서는 “마음과 중생과 부처, 이 셋은 차별이 없다”라고 했다. 그렇다면 부처의 마음은 평상시의 우리 마음과 다를 바 없다는 얘기다. 우리가 밥 먹고 일하며 얘기를 나누는 일거수일투족이 부처의 마음이나 다를 게 없다. 다만 그 평상시의 마음이 시비와 분별을 떠나 있어야 부처의 마음이다. 시비와 분별을 떠난 마음은 무일물(無一物)로서의 마음이다. 자취를 찾을 수 없는 마음이요 공(空)으로서의 마음이다. 그 무일물로서의 마음이 바로 걸림 없는 마음이요 창조적인 마음인 것이다. 그런 마음을 바로 보아 깨닫는다고 할 때, 그것은 내가 걸림 없는 마음이 된 것을 말한다. 보고 곧바로 깨닫긴 하지만,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내가 그런 마음이 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것은 체험의 깊이가 말해준다. 닦음의 깊이가 말해준다. 실천의 깊이가 말해주는 것이다. 그러한 체험의 깊이 속에서 우리는 마음이 곧 부처라는 도리에 썩 어울리게 참여하는 것은 아닐까? 마음을 보는 것이 부처가 되는 것이요 깨닫는 것이다. 즉심즉불의 의미는 여기에 있지 않을까? |
'향내음의 보금자리 >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처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상보는 눈 (0) | 2012.09.28 |
---|---|
법구경에서 (0) | 2012.09.27 |
마음 다스르기 (0) | 2012.09.19 |
♡되돌아 오는 마음 ♡ (0) | 2012.09.17 |
인생은 나를 찾아 가는길 (0) | 2012.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