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세상에 태어날 때 빈손으로 왔으니
가난한들 무슨 손해가 있으며,
죽을 때 아무것도 가지고 갈 수 없으니
부유한들 무슨 이익이 되겠는가.

할 수 있으면 얻는 것보다 덜 써야 한다.
절약하지 않으면 가득 차 있어도 반드시 고갈되고,

절약하면 텅 비어 있어도 언젠가는 차게 된다.
덜 갖고도 우리는 얼마든지 행복하게 살 수 있다.
덜 갖고도 얼마든지 더 많이 존재할 수 있다.

소유와 소비 지향적인 삶의 방식에서존재
지향적인 생활 태도로 바뀌어야 한다.
소유 지향적인 삶과 존재 지향적인 삶은
우리들 일상에 두루 깔려 있다.

거기에는 그 나름의 살아가는 기쁨이 있다.
그러나 어떤 상황에 이르렀을 때,
어느 쪽 삶이 우리가 기대어 살아갈 만한 삶이며,

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 삶인가 뚜렷이 드러난다.
똑같은 조건을 두고
한쪽에서는 삶이 기쁨으로 받아들이고,
다른 한쪽에서는 근심 걱정의 원인으로 본다.

소욕지족 (少欲知足)
작은 것과 적은 것으로 만족할 줄 알아야 한다.
우리가 누리는 행복은 크고 많은 것에서 보다
작은 것과 적은 것 속에 있다.

크고 많은 것만을 원하면
그 욕망을 채울 길이 없다.
작은 것과 적은 것 속에 삶의 향기인
아름다움과 고마움이 스며있다.
